투자 이야기

비트코인 100,000 달러 시대 코앞, 전망 지금 사도 돈 벌 수 있을까

글 짓는 사람 2024. 11. 29. 16:23
반응형

전 세계적으로 매우 혼란스러운 2024년입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이스라엘과 하마스는 전쟁으로,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 2기로, 우리나라는 모든 부분에서 어질어질합니다. 경제적으로도 큰 변곡점에 와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 트럼프가 가상화폐를 인정한다는 발언으로 비트코인이 100,000 달러 시대를 코앞에 두고 있습니다. 이러니 돈 벌기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지금이라도 비트코인을 사면 돈 벌 수 있을까라는 호기심이 생기실 것 같습니다.

비트코인 십만달러 시대와 전망

 

화폐의 가치

화폐라는 것의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신뢰성입니다. 그리고 그 신뢰성은 정부가 그리고 중앙은행이 담보합니다. 하지만 여러 사례를 보아 알듯이 국가는 자신들의 경제를 위해 화폐의 가치를 떨어트릴 수도 또는 높일 수도 있습니다. 또는 통제하지 못할 이슈로 인플레이션 또는 디플레이션이 오고 맙니다. 이것은 누군가로부터 통제되는 신뢰성이 사실 그리 안전하지 못하다는 것입니다.

 

왜 암호화폐 중에 비트코인인가

암호화폐 또는 가상화폐라고 불리는 이것이 새로운 개념이기 때문에 어렵게만 느껴지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간단히 말하면 블록체인 기술을 통하여 누구도 해킹하거나 통제할 수 없는 가상공간의 화폐를 말하는 것입니다. 암호화폐의 시작은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익명의 인물로부터 시작합니다. 그는 2008년에 한 논문을 통해 비트코인의 개념을 제시합니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암호화폐의 시초는 비트코인이라는 것입니다. 이것이 비트코인의 가치에 가장 중요한 점입니다.

또한 화폐라고 하는 것은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어야 의미가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의 숫자는 다른 알트코인과 비교할 수 없이 많습니다.

마지막으로 비트코인은 제한된 발행량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2100만개의 비트코인만 발행된다는 제한성이 있습니다. 이것은 누구도 바꿀 수 없습니다. 비트코인을 갖고 있는 사람들 모두의 데이터에 저장되기 때문에 누군가 그것을 임의로 통제하거나 바꿀 수 없습니다.

 

반응형

비트코인의 반감기

비트코인의 거래 내용 등에 대한 변경 사항은 블록이라는 것으로 저장되고 그것이 체인처럼 연결됩니다. 암호화폐 초창기에 비트코인 채굴 붐이 일었기에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것이고 궁금하셨을 것입니다. 먼저 말한 그 블록을 만들어주는 것을 바로 채굴한다고 하는 것입니다. 이 블록을 만들어주면 보상으로 비트코인을 받습니다.

비트코인 반감기라는 말도 많이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이 반감기는 채굴하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것입니다. 채굴을 통해 보상으로 비트코인을 받는 것인데 그 보상이 반으로 줄어드는 시기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반감기입니다. 보통 4년 주기로 온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비트코인의 발행량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당연히 채굴로 인한 보상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비트코인 전망과 현물 ETF

비트코인은 새로운 화폐 개념이고 이것은 정부의 권위에 도전하는 것과 같기에 통용되냐 안 되냐로 많은 논쟁이 있어왔습니다. 그러던 중 이번 해 1월에 하나의 변곡점이 될 만한 일이 일어났습니다. 바로 미국의 월가에서 비트코인 현물 ETF가 승인된 것입니다. 계속해서 거부되고 있었던 상품이 드디어 오픈한 것입니다. 이것이 가지는 의미는 단순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비트코인 추종자들에게는 희망의 메시지이기도 했습니다. (아쉽게도 우리나라에서는 비트코인 현물 ETF를 거래할 수 없습니다)

개인만 비트코인을 거래할 수 있었는데 이로써 기관이나 어떤 단체도 비트코인에 투자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거기에 이번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가 승리하면서 그의 임기 내에 어떤 큰 변화가 일어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에 비트코인 시세가 요동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추종자들은 비트코인이 백만불까지도 갈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보수적인 투자의 대가들은 아직도 비트코인은 투기의 대상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과연 앞으로 비트코인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반응형